콘딜로마 시리즈 5콘딜로마 초기 증상 및 치료 콘딜로마는 클라미디아나 임질과 같이 심각한 증상을 초래하는 것은 아니지만 재발률이 매우 높고 감염성 또한 뛰어나기 때문에 올바른 지식을 바탕으로 반드시 뿌리를 뽑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늘은 콘딜로마 시리즈의 마지막으로 초기 증상 및 치료방법을 살펴보려고 한다. 콘딜로마 어떻게 알 수 있나다음에 해당한다면 콘딜로마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1. 낯선 상대와 잠자리를 가진 적이 있다. 2. 그 후 생식기 주변에 이상한 돌기가 발견되었다.3. 돌기의 모양이 뾰족한 모양이다.4. 옆으로 점점 퍼져 나가기 시작했다. 콘딜로마는 전염성이 강하고 또한 뚜렷한 증상이 없더라도 피부 밑에 잠복하여 있다가 수시로 괴로움을 주는 질환이기 때문에 콘딜로마 초기 발견 시에 적극적..
콘딜로마 시리즈 4 첨형 콘딜로마 콘딜로마 시리즈의 1편부터 3편까지를 통하여 콘딜로마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법을 알아보았고 몇 가지 사례와 콘딜로마 사진 까지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 편평 콘딜로마와 첨형 콘딜로마 사이의 차이점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한다. 한자로 첨(尖)이라 하면 작을 小(소)와 클 大(대)가 합쳐진 글자로 뿌리가 굵고 끝이 작다는 것에서 '뾰족하다'는 뜻이 된다. 첨탑(尖塔)을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첨형 콘딜로마는 그 모양이 뾰족하다는 데서 그 이름이 유래 되었는데 첨형 이외에도 첨규 콘딜로마 혹은 뾰족 콘딜로마 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편평 콘딜로마와 첨형 콘딜로마 의 차이점인데 그 부분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자. 편평 콘딜로마..
콘딜로마 시리즈 3콘딜로마 치료 그리고 콘딜로마 완치 지난 1편과 2편에서는 콘딜로마가 무엇이며 왜 발생하고 대표적인 증상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구체적인 사례도 살펴보았으며 유형별 콘딜로마 사진 을 통하여 실제 발병 시에 어떤 모습으로 진행이 되는지도 알아보았다. 이번 3편에서는 콘딜로마를 어떻게 치료하는지 그리고 콘딜로마는 완치가 가능한 것인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민감한 질환이라 치료를 망설이는 경우한 20대 후반 여성은 남자친구 이외의 사람과는 관계를 맺은 적이 없다. 어느날 민감한 부위에 사마귀 비슷한 돌기가 올라오기 시작했는데 이상한 생각에 검색을 하다보니 자신이 콘딜로마에 걸렸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여성은 갑자기 엄청나게 걱정이 되기 시작했는데, 이 사..
콘딜로마 시리즈 2 콘딜로마 사진 그리고 콘딜로마 사례 지난 콘딜로마 1편에서는 콘딜로마의 원인과 증상에 관해 살펴보았다. 다른 성매개질환에 비해 증상이 심각하지 않고 또 자연히 증상이 없으지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쉽게 간과하는 경우가 많은데, 앞서 1편에서 살펴본 것처럼 콘딜로마를 유발하는 HPV바이러스는 몸 속에 장기간 잠복하고 있다가 질환의 재발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으니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하는 것이 좋겠다. 이번 2편에서는 콘딜로마 사진 그리고 콘딜로마 사례들을 통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한다. 콘딜로마가 암으로 이어지는가먼저 살펴볼 사례는 콘딜로마가 암으로 이어질까 걱정했던 케이스이다. 이 환자는 콘딜로마 진단을 받은 후 초기에 치료를 받았다. 치료 후 걱정 없이 지내왔지..
콘딜로마 시리즈 1 콘딜로마 원인 그리고 콘딜로마 증상 지난 '클라미디아 시리즈'에서 살펴보았던 것처럼, 개방적 성의식으로 인해 성매개 질환의 발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고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위험군에 속해 있는 25세 이상의 여성들과 25세 미만의 여성은 위험군에 속하지 않더라도 전부다 매년 성매개질환의 검진을 받도록 권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시대적 상황 속에서 단지 문란한 성생활을 자제하라는 도덕적인 외침만으로는 무언가 충분해 보이지 않는다. 클라미디아를 비롯하여 임질과 헤르페스까지 살펴보았던 지난번 시리즈에 이어서 콘딜로마 시리즈를 기획한 이유도 이 때문인데, 건전한 성생활에 대한 강조도 중요하지만 질환에 대한 지식이야 말로 두려움을 갖게 하고 따라서 예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생..
- Total
- Today
- Yesterday
- 자궁경부 이형성증
- 자궁선근증
- 출산 후 자궁 수축 운동 방법
- 이형 세포
- 질염
- 자궁내막증
- CA125
- 콘딜로마
- 유레아 플라즈마
- 자궁구조
- HE4
- 부인과 질환 종류
- 자궁근종
- 다낭성난소증후군
- 갑상선
- 부인과질환종류
- 암세포 죽이는 음식
- 트리코모나스
- 자궁경부암 검사
- 골다공증
- 베타 라파콘
- 소음순 비대증
- 성교통
- 심리학의 이해
- 아데노이드
- 인유두종
- 비정형 세포
- 바르톨린선 낭종
- 전반적 발달장애
- 난소낭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