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연근 효능
끝이 없는 연근의 효능
연근은 섬유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겨울철 대표 식재료이다. 연근을 섭취함으로써 추운 겨울 동안 몸에 쌓이게 된 노폐물을 몸 밖으로 내보낼 수도 있다.
또한 비타민을 비롯한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여 다양한 효능가지고 있고,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친해져야 할 음식이다. 그럼 연근의 효능을 제대로 알아보자.
맛있는 반찬 연근, 피부미용에도 좋다
연근은 건강에 좋은 대표적인 뿌리채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잎채소에 버금가는 비타민과 무기질을 포함하고 있어서 전천후의 식재료이기도 하다. 비타민C의 경우 귤보다도 훨씬 많은 1.5배 가량이 들어 있다.
또한 비타민B12의 경우에는 다른 식물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연근에는 포함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비타민B1, 비타민B2 등도 풍부하여, 혈액순환 개선에 큰 효능을 가지며 내장을 깨끗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내장이 깨끗해지면 피부톤도 밝아지고 피부결도 좋아지기 때문에 부수적으로 피부미용의 효과도 거둘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연근은 유익한 무기질과 아미노산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아스파라긴(asparagine)이나 아르기닌(arginine), 티록신(thyroxine) 그리고 레시틴(lecithin)과 펙틴(pectin)도 포함한 슈퍼푸드이다.
그럼 이러한 물질들이 어떻게 우리 몸을 이롭게 하는지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술과 연근의 상관관계
술을 많이 마시게 되면 소화기관, 특히 위에 부담이 많이 가게 된다. 이 때 연근이 위장질환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연근에 다량 함유된 뮤신(mucin)은 위벽을 보호하는 효과를 가진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연근에는 아스파라긴(asparagine)도 들어 있어서 숙취해소에 직접적인 효과를 가진다. 게다가 귤보다 많고 레몬과도 비슷할 정도의 비타민C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음주 후 지치고 쳐진 몸의 회복에 큰 효능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연근이 가진 대표적인 물질 중 하나인 타닌(tannin)은 해독작용에 엄청난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연근이야말로 음주로 지친 현대인들에게 꼭 필요한 식품인 것이다. 또다른 연근 효능은 무엇이 있을까.
위장병 환자에게 희소식
대표적인 연근 효능 중 하나는 위장질환 극복이다. 위장 내에 출혈이 잦고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연근에 풍부한 타닌(tannin)과 철분(鐵粉)은 지혈(止血)효과를 톡톡히 해낸다. 그에 따라, 비단 위장출혈 뿐만 아니라 대장에도 좋아서 치질환자에게도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가볍게는 코피의 지혈에도 효능을 발휘하며, 각종 부인병으로 인한 출혈에도 연근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단지 출혈의 방지와 지혈로 인한 것 이외에도, 연근은 직접적으로 위를 보호해주어 위장병 환자에게는 꿈의 음식이다. 바로 뮤신(mucin)이라는 물질 때문이다. 뮤신은 끈끈한 점액성의 물질로 위벽을 직접적으로 보호하는데, 위가 좋지 않은 사람은 그 효능을 즉각적으로 느낄 정도이다. 복용법은 반찬으로 먹는 방법도 있지만, 생으로 갈아 즙을 내어 마시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몇 년 전 말린 연근 효능이 크게 주목받은 뒤로는 연근을 말려서 차로 마시거나 밥을 지어 먹는 경우도 많아졌다.
천연 항생제
염증이 생기면 보통 병원에서 항생제를 처방받아 복용하게 된다. 그러나 연근과 같은 천연 항생제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자. 위에서 언급한 타닌(tannin)은 해독작용(解毒作用)과 지혈작용(止血作用) 뿐만 아니라 살균(殺菌)에도 효능을 보인다. 염증을 유발한 세균들에 직접 침투하여 응고시키고 병원균을 사멸시키는 작용을 하는 천연 살균제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미 발생한 염증을 없애주는 소염(疏髥)에도 특효이다. 연근은 타닌(tannin)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염증으로 인한 붓기와 열기를 내려주는 천연 항생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연근 효능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변비 탈출
위와 같은 효능들 이외에도, 연근은 아주 질 좋은 섬유질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근을 통하여 섬유질을 섭취함으로써 변비 탈출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특히나 겨울이 제철인 연근임을 고려할 때에, 활동량 부족으로 만성변비가 많이 생기는 겨울철에 더욱 효과가 좋은 것이다. 이 얼마나 자연의 이치가 오묘한가. 뿐만 아니라 변비탈출과 내장청소 기능은 비만을 극복하게 해주고, 고혈압 환자에게도 효과가 있으니 연근 효능은 정말 끝이 없다.
끝이 없는 연근 효능
그 밖에도 연근은 구내염 치료제로도 쓰인다. 살균작용과 소염작용을 하는 연근의 특성 때문이다. 연근을 다려 일일 5회 내지 6회 정도 가글을 하게 되면 구내염 완화에 특효이다. 한편 연근은 기본적으로 뿌리음식이기 때문에 사지가 차갑고 기력이 허한 사람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연근을 먹는다면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근이라 하면 떠오르듯이 연근 조림을 해 먹는 방법부터, 율곡 이이가 모친상을 치른 후에 기력 회복을 위해 먹었다는, 연근죽을 만들어 먹는 방법도 있다. 연근의 끈적한 느낌을 피하고 싶다면 잘게 다져서 주먹밥으로 먹는 방법이 있고, 아니면 말린 연근을 먹는 방법도 있다. 연근을 말리게 되면 끈적한 점액 성분인 뮤신(mucin)이 굳게 되어 섭취에 불편함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말렸을 때 뮤신의 효능도 커지고 체내 흡수율도 더욱 높아지니 일석이조의 방법인 셈이다.
'건강한 신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yroid 한국어 뜻 (0) | 2018.08.29 |
---|---|
한약 다이어트 부작용 조심해야 하는 이유 (2) | 2018.07.26 |
와일드 망고 종자 추출물 효능과 과학적 근거 (0) | 2018.07.26 |
와일드 망고 다이어트 효과 의심하는 이유 (0) | 2018.07.26 |
말린연근 효능 그리고 제대로 말리는 방법 (0) | 2018.07.18 |
단백뇨 치료 방법 너무 많아서 고민 (0) | 2018.07.17 |
단백뇨 수치 무엇을 의미하는가 (0) | 2018.07.16 |
단백뇨 원인 무엇일까 (0) | 2018.07.15 |
- Total
- Today
- Yesterday
- 자궁경부 이형성증
- 성교통
- 자궁근종
- 비정형 세포
- 출산 후 자궁 수축 운동 방법
- 트리코모나스
- 자궁구조
- 아데노이드
- 인유두종
- 갑상선
- 골다공증
- 다낭성난소증후군
- 전반적 발달장애
- 이형 세포
- 자궁내막증
- 자궁경부암 검사
- 암세포 죽이는 음식
- 심리학의 이해
- 소음순 비대증
- 부인과 질환 종류
- 난소낭종
- CA125
- 베타 라파콘
- 유레아 플라즈마
- 질염
- HE4
- 자궁선근증
- 부인과질환종류
- 콘딜로마
- 바르톨린선 낭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